맨위로가기

아말피 공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말피 공국은 339년 무역 거점으로 설립되어 9세기 롬바르드족의 지배에서 벗어나 자치 공화국으로 발전하였다. 958년 공작을 선출하며 최성기를 맞이하였으며, 11세기에는 살레르노 공국의 개입으로 정권이 불안정해졌다. 1073년 노르만족에게 정복당하여 독립을 잃었고, 1131년 시칠리아 왕국에 병합되었다. 아말피는 해상 무역과 해상법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대식 나침반 개량과 구호 기사단의 창설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파니아주의 역사 - 삼니움인
    삼니움인은 기원전 4세기부터 3세기까지 로마에 저항한 이탈리아 중남부 삼니움 지역의 고대 민족으로, 사비니족과 관련이 있으며 독자적인 문화와 사회 조직을 가졌으나 술라의 탄압 이후 로마에 동화되었다.
  • 캄파니아주의 역사 - 스페인 제국
    1492년 이베리아 연합 왕국의 성립과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을 계기로 시작된 스페인 제국은 아메리카 대륙과 아시아 지역을 지배하며 번성했으나, 18세기 후반부터 쇠퇴하여 20세기 중반 식민지 독립으로 막을 내렸고, 스페인어와 문화적 유산을 남겼다.
  • 아말피 해안 - 라벨로
    라벨로는 이탈리아 캄파니아주에 위치한 코무네로, 5세기에 건설되어 9세기에는 아말피 공화국의 중요한 도시였으며, 12세기에는 25,000명의 인구를 보유했으나 피사 공화국에 의해 파괴된 후 쇠퇴했고, 현재는 라벨로 대성당, 빌라 루폴로, 빌라 침브로네 등의 명소가 있으며 라벨로 페스티벌이 열리고 영화 촬영지로도 유명하다.
  • 아말피 해안 - 프라이아노
    이탈리아 아말피 해안에 위치한 프라이아노는 아말피 공국 총독의 여름 거주지이자 실크 산업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어업과 관광 산업이 주를 이루며, 산 루카 에반젤리스타 교회와 산 조반니 바티스타 교회 등의 명소가 있다.
아말피 공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개요
아말피 공화국 국기
국기
캄파니아 주 문장
문장
10세기 이탈리아, 밝은 노란색으로 표시된 아말피 공국
10세기 당시의 이탈리아 반도. 밝은 노란색으로 표시된 작은 국가가 아말피임.
일반 명칭아말피 공국
토착어 명칭Ducatus Amalphitanus (라틴어)
기본 정보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유대교
동방 정교회
수도아말피
공용어라틴어
그리스어
나폴리어
통화솔리두스
타리
역사
시대중세
존속 기간958년 ~ 1137년
국가 형태독립 국가
정치 체제선출 공국
주요 사건공작 선출 (958년)
피사에 의한 약탈 (1137년)
선행 국가나폴리 공국
후행 국가시칠리아 왕국
통치
역대 공작초대 공작 마스탈루스 2세 (957년–958년)
마지막 공작 마리누스 세바스투스 (1096년–c.1100년)
공작 칭호공작
통계
1131년인구: 70,000명
현재 국가
현재 소속 국가이탈리아

2. 역사

339년 교역소로 시작된 아말피는 839년 롬바르드족의 지배에서 벗어나 자치 공화국으로 발전했으며, 958년에는 공작을 선출하며 공국 시대를 열었다. 아말피 공국은 피사, 제노바, 베네치아와 같은 북부 해양 도시 국가들이 부상하기 전까지 이탈리아 남부의 강력한 해상 세력으로서 지중해 무역을 주도하는 상업 중심지였다. 특히 아말피는 선진적인 해상법을 제정하여 지중해 교역 질서 확립에 기여했으며, 이 법은 공국이 쇠퇴한 후에도 1570년경까지 널리 사용되었다.[2]

그러나 11세기에 들어서면서 내외부적 요인으로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1073년 노르만족의 로베르 기스카르에게 정복당하면서 독립을 상실했고, 이후 몇 차례의 반란이 있었으나 모두 진압되었다. 1131년에는 시칠리아 왕국에 완전히 병합되었으며, 1135년1137년에 경쟁 관계였던 피사의 침략과 약탈을 겪으며 결정적으로 쇠퇴하였다.

비록 독립 국가는 사라졌지만, "아말피 공작"이라는 칭호는 14세기 후반 나폴리 왕국 내에서 귀족 작위로 부활하기도 했다.

2. 1. 초기 역사 (4세기 ~ 9세기)

아말피는 339년 무역 거점으로 세워졌다. 첫 주교596년에 임명되었다.

838년, 아말피는 내부 반역자들의 도움을 받은 베네벤토의 시카드에게 점령당했다. 이후 많은 아말피인들이 도시를 떠나 살레르노로 이주했다. 839년, 아말피는 롬바르드족의 지배에서 벗어나 자치적으로 지사를 선출하며 독립적인 공화국으로 나아가기 시작했다. 이웃한 아트라니 역시 초기 지사 선거에 참여했다. 또한 아말피는 베네벤토 공작에 맞서기 위해 시코눌프의 해방을 지원하기도 했다.

897년, 형식적으로는 비잔틴 제국의 영향 아래 있었지만 사실상 자치 공화국이었던 아말피는 나폴리 공국의 지원을 받은 소렌토 공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했다. 이 전쟁으로 아말피의 지사가 포로로 잡혔다가 몸값을 지불하고 풀려났다.

2. 2. 아말피 공화국의 번영 (9세기 ~ 11세기)

839년 롬바르드인의 지배에서 벗어난 아말피는 나폴리 공국으로 복속되지 않고 독립을 선언하며 자치 공화국으로서의 역사를 시작했다.[2] 이후 강력한 해상 세력을 구축하며 지중해 무역의 주요 거점으로 성장했다.

897년, 형식적으로 비잔틴 제국에 속해 있던 아말피는 나폴리 공국의 지원을 받은 소렌토 공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지사가 포로로 잡혔다가 풀려나는 시련을 겪기도 했다. 그러나 10세기에 들어서면서 아말피는 본격적인 번영기를 맞이했다. 914년, 지사 마스탈루스 1세가 첫 번째 판사로 임명되어 정치 체제를 정비했다.

아말피는 909년부터 이슬람 세계의 강자인 파티마 칼리파국과 활발한 교역 관계를 맺었으며,[2] 이는 아말피의 경제적 번영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이러한 관계 때문에 아말피는 915년 교황령과 비잔틴 제국 등이 연합하여 가릴리아노 강 유역의 이슬람 세력을 축출한 가릴리아노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다.[2] 10세기와 11세기 동안 아말피는 비잔틴 제국 및 파티마 칼리파국 모두와 강력한 경제적 유대를 유지하며[3] 북아프리카와 레반트 지역과의 무역을 사실상 지배했다.[4] 당시 아말피의 주요 수출품 중 하나는 이었다.[5]

아말피 상인들의 활동 범위는 광범위하여, 10세기와 11세기 동안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에는 아말피인들의 중요한 거류지가 형성되었다. 또한 1040년경에는 레반트 지역에 라틴 기독교 전초 기지를 건설하고, 예루살렘과 안티오크 등지에 기독교 순례자들을 위한 숙소를 마련하기도 했다.[3]

958년, 마스탈루스 2세가 암살되는 정치적 혼란이 있었으나, 곧이어 세르지우스 1세가 시민들에 의해 첫 번째 공작(도제)으로 선출되면서 공국으로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977년 아말피를 방문한 아랍의 여행가 이븐 하우칼은 당시 아말피의 번영상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 롬바르디아에서 가장 번성하고, 가장 고귀하며, 조건에 따라 가장 뛰어나고, 가장 부유하고 풍요로운 도시. 아말피의 영토는 나폴리와 접해 있는데, 나폴리는 아름다운 도시이지만 아말피보다 덜 중요하다.

아말피는 981년부터 983년까지 잠시 살레르노 공국을 통치하며 세력을 확장하기도 했으며, 987년에는 교황청으로부터 대교구 지위를 인정받아 종교적 위상도 높아졌다.

그러나 11세기에 접어들면서 아말피의 정치적 상황은 점차 불안정해지기 시작했다. 1034년에는 카푸아 공국의 지배하에 놓였고, 1039년에는 다시 살레르노 공국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 점차 독립적인 지위를 상실해갔다. 이는 아말피의 오랜 번영기가 저물어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건들이었다.

2. 3. 쇠퇴와 노르만족의 지배 (11세기 ~ 12세기)

11세기에 들어서면서 아말피의 정세는 점차 불안정해졌고, 살레르노 공국의 개입을 받게 되었다. 1034년에는 카푸아 공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1039년부터는 살레르노의 지배하에 놓였다.

1073년, 노르만족의 로베르 기스카르가 아말피를 정복하면서 공국은 독립을 잃었다. 로베르 기스카르는 dux Amalfitanorum|아말피인들의 공작la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아말피는 노르만족의 지배에 저항했다. 1096년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1101년에 진압되었다. 1130년에 다시 반란이 일어났지만, 시칠리아 왕국의 루지에로 2세가 파견한 군대에 의해 1131년 최종적으로 진압되었다. 당시 존 (시칠리아 제독) 에미르가 육로로 공격하고 안티오키아의 조지가 해상 봉쇄를 통해 도시를 압박했다. 이로써 아말피는 시칠리아 왕국에 완전히 병합되었다.

이후 1135년1137년 두 차례에 걸쳐 피사의 공격과 약탈을 당하면서 아말피는 크게 쇠퇴하였다.

2. 4. 근대 이후

알폰소 발지코가 1900년에 제작한 아말피의 ''플라비오 조이아'' 동상


아말피 공국은 1137년 이후 독립을 회복하지 못했지만, 아말피 시는 그 후로도 약 200년 동안 해상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계속했다. 그러나 1343년에 발생한 지진과 폭풍으로 항구 대부분이 파괴되면서 도시의 중요성은 크게 줄어들었다.[1]

독립 상실 이후 아말피가 남긴 중요한 유산 중 하나는 현대적인 상자형 나침반의 개량이다. 1295년1302년 사이에 플라비오 조이아는 물 위에 바늘을 띄우는 기존 방식 대신, 오늘날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게 360도 회전하는 나침반 카드와 자석이 부착된 둥근 상자 형태의 나침반을 개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또한, 십자군 전쟁 시기에 활동한 가톨릭 군사 기사단인 구호 기사단은 아말피 출신 베네딕토회 수도사들에 의해 창설되었다. 이 기사단은 공국의 상징이었던 팔각별 십자가를 사용했는데, 이 십자가는 아말피에서 사용되기 전인 6세기 비잔틴 제국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16세기에 구호 기사단이 몰타로 이전하면서 이 상징은 몰타 십자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오늘날에도 몰타 기사단에서 사용하고 있다.[6]

3. 유산

롬바르드족과 나폴리의 지배에서 벗어나 839년 이후 독립한 아말피는 강력한 해상 세력을 구축했다.[2] 비잔틴 제국 및 파티마 칼리파조와 활발한 경제 관계를 맺었으며,[3] 10세기와 11세기에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중요한 거점을 확보했다. 또한 1040년경 레반트 지역에 라틴 기독교 전초 기지를 세우고, 예루살렘과 안티오크에 기독교 순례자들을 위한 숙소를 마련하는 등[3] 국제적인 활동 범위를 넓혔다. 이 시기 아말피는 북아프리카와 레반트와의 무역을 주도하며[4] 지중해 상업의 중심지로 부상했다. 주요 수출품 중 하나는 이었다.[5]

피사, 제노바, 베네치아와 같은 북부 도시 국가들이 성장하기 전까지 아말피는 이탈리아 상업을 이끌며 지중해 무역의 선구자 역할을 했다. 또한, 아말피는 초기에 해상법을 정비하여 중요한 법적 유산을 남겼다.

3. 1. 해상법

피사, 제노바, 베네치아 등 북부의 도시 국가가 성장하기 전까지 아말피는 이탈리아 상업의 중심지로서 지중해 무역을 주도했다. 지중해 무역의 선구자적인 역할을 했으며, 최초로 해상법을 체계적으로 정비한 국가 중 하나였다. 아말피의 해상법은 공국이 쇠퇴한 이후에도 오랫동안 영향력을 유지하여 1570년경까지 지중해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3. 2. 나침반

아말피 공국은 1137년 이후 독립을 회복하지 못했지만, 아말피 시는 1343년 지진과 폭풍으로 항구의 대부분이 파괴될 때까지 약 200년 동안 해상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이어갔다.[1] 이 시기 아말피의 가장 중요한 공헌 중 하나는 현대적인 상자형 나침반을 완성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

1295년에서 1302년 사이, 플라비오 조이아는 물 위에 바늘을 띄우는 초기 형태의 나침반을 오늘날 사용되는 방식, 즉 360도 회전하는 나침반 카드와 자석이 함께 부착된 둥근 상자 형태로 개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3. 3. 구호 기사단

십자군 전쟁 시기에 활동했던 가톨릭 군사 기사단인 구호 기사단은 아말피 출신의 베네딕토 수도사들이 창설했다.[6] 구호 기사단은 아말피 공국의 상징 중 하나인 팔각별 십자가를 사용했는데, 이 상징은 아말피에서 쓰이기 이전인 6세기 비잔틴 제국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6] 16세기에 구호 기사단이 몰타 섬으로 근거지를 옮기면서 이 팔각별 십자가는 몰타 십자라는 이름으로 더 널리 알려지게 되었으며, 오늘날 몰타 기사단에서도 이 상징을 사용하고 있다.[6]

참조

[1] 서적 The riddle of the compass : the invention that changed the world https://archive.org/[...] Harcourt 2001
[2] 서적 Family power in southern Italy: the duchy of Gaeta and its neighbours, 850–1139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3] 서적 Conflict, commerce, and an aesthetic of appropriation in the Italian maritime cities, 1000–1150 Brill 2018
[4] 서적 Medieval Italy : texts in transl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9
[5] 서적 Ecologies and economies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Europe : studies in environmental history for Richard C. Hoffmann Brill 2010
[6] 웹사이트 The eight-pointed cross https://www.orderofm[...] Sovereign Military Order of Malta 2024-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